[식약처] 영양사 없는 소규모 노인·장애인시설을 지원합니다.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정부혁신 실행계획 2-2관련)

24년 11월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좋아요 0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국민안심 기준, 안전이 최우선. 영양사 없는 소규모 노인 및 장애인 시설 지원,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의 역할 강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노인장애인복지시설 10곳 중 7곳이 영양사 없이 운영되고 있으며, 9,214개소가 영양사 없이 급식을 제공하고 있음.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는 영양사가 없는 소규모 시설에 안전하고 건강한 식사를 지원하고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급식시설의 위생안전 및 영양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순회방문을 지원하며, 개인위생, 시설환경, 조리관리 등의 위생안전관리와 적정 배식량, 염도관리, 식단정보 제공 등의 영양관리를 포함한 지원을 실시함.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용자의 영양관리를 위해 기저질환과 건강 상태에 따른 식사안내문을 제공하고, 영양 관리가 필요한 이용자에게 상담과 주기적인 관리를 실시하는 시스템 운영.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맞춤형 식단 제공 내용. 성별, 나이, 활동 정도에 따른 영양 기준량 참고. 노인 표준형 식단 예시로 조식, 중식, 석식 구성.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에너지와 단백질 양 제공. 식단에 곡류, 고기, 생선, 채소, 과일 포함. 소량씩 자주 섭취 권장.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당뇨식과 같은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며, 특정 질환에 따라 식단을 조절함. 예를 들어, 잡곡밥과 저염식, 고단백식 등이 포함됨. 당뇨식은 혈당 조절을 위해 복합탄수화물로 구성되며, 단순당이 많은 간식은 제한됨. 이용자에게는 식사 안내문이 제공되어 적용대상과 주의사항이 설명됨.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급식시설 이용자와 종사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시설장, 조리원, 요양보호사, 이용자 교육을 포함. 염도 관리, 질환별 조리법, 개인 위생 관리, 올바른 조리 및 배식 방법 교육 제공. 위생 점검 일지 및 급식 위생 관련 물품 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청렴과 국민 안심 기준 강조,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절차 안내. 신청서 작성 후 지역센터 상담, 등록증 발급, 급식소 지원. 노인·장애인 시설은 누리집과 QR코드 통해 상세 정보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