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연안재해 이렇게 예방해요!

24년 12월 04일
해양수산부
좋아요 1

국민이 체감하는 적극행정 실현을 통해 일 잘하는 정부와 더 편안한 국민을 위한 해양수산부의 연안교육센터. 연안재해 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

지진해일 특보 발령 시 높은 곳으로 신속히 대피 필요. 동해는 깊은 수심과 일본 인접으로 해일 발생 가능성 높음. 경고 방송에 주의하고 대피 명령 시 즉각 대피해야 함. 미리 대피소 확인하고 신속한 대피 중요.

연안 침식이 해수면 상승, 이상 파랑, 연안 개발로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 양빈과 호안 설치, 지역 주민의 모니터링으로 예방 가능. 연안포털에서 침식 모니터링 서비스 이용.

기후변화로 인한 침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과 집중호우가 원인. 안전TP로 밀집 지역의 배수 기능 강화, 방수벽 설치 및 지대 높이기 필요. 안전디딤돌 앱으로 대피 위치 확인 가능.

강풍으로 인한 시설물 파손과 낙하물 발생 위험, 특히 공사장과 산사태 위험지역 피해야 함. 기상정보 확인 후 외출 자제, 집 안에서는 모든 문과 창문 닫고 창틀과 유리창 틈새 보강 및 고정 필요.

2011년 3월 11일, 9.0 강도의 도호쿠 대지진으로 발생한 해일이 일본 동북부를 강타함. 사망자 2만명 이상, 피해금액 1천억 달러 이상.

송정해수욕장은 연안 침식 실태 조사 결과, 백사장 폭이 1970년 70~80m에서 2022년 24~56m로 줄어든 심각한 상황.

2022년 8월 집중호우로 동작구와 관악구에서 침수 피해 발생, 신대방역, 보라매공원, 도림천 등 지역 피해. 수도권 철도역사 붕괴 및 침수, 인명피해 최소 195명, 사망 14명, 실종 2명. 피해금액 658억원 이상.

2003년 9월 태풍 매미가 부산과 경남에 강풍을 동반해 막대한 피해를 초래함. 피해자 119명, 피해금액 약 4조2,222억원에 달함.

연안재해 안전TIP: 지진해일 발생 시 대피소 미리 확인 후 신속 대피, 연안침식은 모니터링 서비스 이용, 침수 시 안전디딤돌 앱으로 대피위치 확인, 강품은 창틀과 유리창 틈새 보강 및 고정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