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지방공공기관 혁신 보고대회」 개최

2023-01-10
행정안전부
조회수 1801
좋아요 0
첨부파일
230111 (조간) 행안부 「지방공공기관 혁신 보고대회」 개최(공기업정책과).pdf [371 KB]

행안부, 「지방공공기관 혁신 보고대회」 개최

- 부채중점관리제도 개편, 출연기관 설립 표준모형 마련 등 2023년 혁신정책 발표 -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1월 10일(화) ‘지방공공기관 혁신 보고대회(행안부장관 주재)’를 개최하였다.

 ○ 새 정부 출범 이후 행정안전부는 지방공공기관 혁신 추진을 위해 2022년 7월 ‘새정부 지방공공기관 혁신방향’, 9월 ‘지방공공기관 혁신지침(가이드라인)’, 11월 ‘지방공공기관 관리체계 개편방향’ 등을 발표한 바 있다.

 ○ 이번「지방공공기관 혁신 보고대회」는 2023년 지방공공기관 혁신 정책방향을 설명하고, 새정부 출범 이후 구조개혁 등 지방공공기관 혁신에 힘쓴 자치단체를 격려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 먼저, 행정안전부는 이날 혁신 보고대회에서 2022년이 지방공공기관 혁신 계획의 해였다면, 2023년은 혁신 성과를 본격적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지방공공기관 혁신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하였다.

 ○ 유사·중복 기능 조정, 민간 경합사업 정비 등 구조개혁 과제를 지속 발굴하고, 이행 점검과 평가를 통해 성과 창출에 주력한다,

 ○ 부채중점관리기관 선정지표 개편, 지방공사채와 연계한 부채의 적극 관리, 비핵심자산·부실사업 등의 지속 정비를 통해 재무건전성을 강화한다.

 ○ 지방공기업 타 법인 출자제도 개선, 출연기관 설립 표준모형 마련 등을 위한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여 책임성을 확보하고, 경영평가 체계를 개편하여 공공성과 효율성의 조화를 도모한다.

 ○ 상수도 업무통합, 출자·출연기관 공동 설립·운영 등 지자체 간 지방공공기관 업무 협력을 확대하고, 지방공공기관 자산·정보의 공유 확대, 지역기업의 환경·사회·투명(ESG)경영 지원 등 지방공공기관과 민간부문의 협력도 강화한다.


□ 또한 이날 혁신 보고대회에서는 경북, 부산, 수원 등 3개 지자체의 혁신 우수사례를 전국 지자체와 공유하는 시간도 마련되었다.

 ○ 경북은 ‘1개 분야 1개 기관’을 원칙으로 25개 지방공공기관을 18개로 축소하기로 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인터넷 자원공유(클라우드) 기반의 ‘공공기관 통합업무시스템’ 도입 계획이 눈에 띄었다.

 ○ 부산은 도시재생 지원기능의 일원화, 경륜사업 쇠퇴에 대한 능동적 대응 등을 위해 25개 지방공공기관을 21개 기관으로 정비하고, 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창업·산업 등의 기능을 기관 간 조정할 예정이다.

 ○ 수원은 9개 지방공공기관을 8개로 재편하고, 핵심기능 강화를 위해 수원도시재단의 도시재생사업을 수원도시공사로 이관하는 등 5개 기관 간 기능 조정 계획을 소개하였다.


□ 구조개혁을 위해 노력한 11개 지방자치단체*에 재정 특전(인센티브)도 수여했다.

    * 광역은 2개 유형별로 최우수단체·우수단체, 기초는 7개 유형별로 최우수단체 선정

 ○ 광역 최우수단체인 경북과 대구는 각각 40억원, 우수단체인 경남과 부산에는 각각 17.5억원이 수여되었다.

 ○ 기초 최우수단체인 수원·포천·양산(시 부문)은 각각 15억원, 완주·남해(군 부문)와 도봉구·인천서구(자치구 부문)는 각각 10억원의 재정 특전(인센티브)이 제공되었다.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복합위기의 상황 속에서 지방공공기관이 미래를 대비하고, 주민께 보다 나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제 혁신을 본격화해야 한다”면서 “행정안전부는 지방공공기관 혁신이 차질없이 진행되어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상남도 남해군청의 혁신보고대회와 관련된 내용, 여러 지역의 예산 규모가 나열됨. 서울특별시 도봉구 100억 원, 경상남도 양산시 150억 원, 경기도 수원시 150억 원, 대구광역시 40억 원, 경상북도 400억 원, 경상남도 175억 원, 인천광역시 서구 100억 원, 부산광역시 175억 원, 경기도 포천시 150억 원, 전라북도 완주군 100억 원 등 다양한 지방공공기관의 예산이 언급됨.




각 기관의 정부혁신 보도자료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각 기관들이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할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0/2000

전체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