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혁신 최초최고 로고

[안내] 제4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개최를 알립니다

2025-03-19
조회수 842
좋아요 1
첨부파일

혁신의 첫걸음과 으뜸을 찾는 제4회 정부혁신 최초·최고를 시작합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행정연구원은 「정부혁신 최초사례 상시접수」('23.1.20.~재)를 통해 각 기관에서 제출하신 사례를 결과, '국내 최초' 후보사례 4개를 검증하는 한편, 3개 분야에서 '최고' 사례를 공모하고자 합니다. 




■ 정부혁신 국내 '최초' 후보사례 (4개) 


1. 재택근무 (특허청)


2. 약 봉투에 약 정보와 복용법 표시 (서울특별시)


3. 탄소중립 포인트제 (광주광역시)


4. 공영장례 (전남 신안군)




☞ 사례별 상세 내용은 하단 참고 (클릭시 아래로 이동) 




위 후보사례 중 ‘우리 기관이 더 먼저 시작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첨부 '제4회 정부혁신 최초 후보사례 검증 및 최고 공모 계획'의 붙임 1 의견서를 2025년 4월 18일(금)까지 공문 또는 이메일(innogov@korea.kr)로 제출하여 주시면 됩니다. 



또한, 정부혁신 '최고' 공모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정부혁신 '최고' 공모 



+ 대상: 전 행정기관(중앙부처·지자체·교육청) 및 중앙·지방 공공기관 



+ 분야: ①AI 기술로 일상생활 속 문제 해결, ②지방 이주자 지원으로 지역 소멸 극복, ③공영장례



+ 기간: 2025.3.19.(수) ~ 4.18.(금) 



+ 방법: 첨부 '제4회 정부혁신 최초 후보사례 검증 및 최고 공모 계획'의 붙임 2 서식에 해당내용을 작성하여 공문으로 또는 이메일로 제출(innogov@korea.kr) 



+ 문의: 혁신기획과 홍보팀 044-205-2210, 2219, 2217 



(배너) 제4회 정부혁신 최초최고 개최 안내_500x500.jpg





[참고] 정부혁신 '최초' 후보사례 상세 안내





1. 재택근무 (특허청) - 국내 최초

◦2005년 3월, 청사 이전(‘98년)과 심사인력 대폭 증원(840명, ’95~‘05년)에 따른 사무공간 확보 및 우수인력 유치를 위해 공공부문 최초로 도입

◦자체 재택근무 시행 규정 마련 및 재택근무시스템* 구축

  ※ 접속자 신분 확인 위해 GPKI와 지문인식시스템 적용 및암호화된 가상사설망(VPN) 자체 개발하여 특허넷과 연계

◦2011년 7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에 재택근무 규정 마련되었고,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비대면 근무로 본격 확산





2. 약 봉투에 약 정보와 복용법 표시 (서울특별시) - 국내 최초

◦2012년 서울시가 시민제안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약사회·약국과 협업하여 약 봉투에 약 사진‧특성‧복용법 등을 기재하여 안내

◦2013년 서울시에서 복지부에 관련 법령 등 개정 건의하였고 2014년에 관련 법령(약사법 및 시행규칙) 개정




3. 탄소중립 포인트제 (광주광역시) - 국내 최초

◦2008년 4월, 광주시에서 ‘탄소은행’이라는 명칭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전환을 위해 시작※ 개인‧상업시설의 에너지 감축률에 따라 인센티브 제공

◦2012년 1월, 환경부에서 ‘탄소중립포인트제’ 이름으로 통합 운영 및 전국 확대 시행※ 23년 말 기준 180만여명 가입




4. 공영장례 (전남 신안군) - 국내 최초

◦2007년 전남 신안군이 전국 최초로 무연고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공영장례 제도 및 서비스 시행  

◦24년 말 기준, 서울 도봉구, 대전 서구 등 200여개 지자체에서 관련 서비스 시행 중

◦복지부에서 ‘무연고 사망자 공영장례 표준안’ 마련(‘24.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