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평가

홈 > 정부혁신 국제협력 > 국제평가

정부혁신

정부혁신관련 국제평가 현황 표로 평가, 평가분야/항목, 우리나라 성적 정보 제공
평가 평가 분야/항목 우리나라 성적
전자정부평가 [평가기관 : UN]

온라인 서비스 수준

통신 기반 환경

인적자본 수준

2022년 : 3위 (193개국 중)
2020년: 2위 (193개국 중)
2018년: 3위 (193개국 중)
2016년: 3위 (193개국 중)
정부신뢰도평가
[평가기관 : OECD]

월드갤럽폴 단일문항 활용

2021년: 20위 (37개국 중)
2019년: 22위 (36개국 중)
2017년: 32위 (35개국 중)
더 나은 삶의 질 지수(BLI) [평가기관 : OECD]

11개 영역 23개 지표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2020년: 28위 (35개국 중)
2019년: 30위 (40개국 중)
2018년: 30위 (40개국 중)
2017년: 29위 (38개국 중)
디지털정부평가 [평가기관 : OECD]

디지털 우선 정부

플랫폼 정부

열린 정부

데이터 기반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선제적 정부

2020년: 1위 (33개국 중)
국가경쟁력평가 [평가기관 : WEF*] * 세계경제포럼

4대 분야 12개 부문
(기본환경 4개 부문, 인적자원 2개 부문, 시장 4개 부문, 혁신생태계 2개 부문)

2019년: 13위 (141개국 중)
2018년: 15위 (140개국 중)
2017년: 26위 (137개국 중)
2016년: 26위 (138개국 중)
부패인식지수 [평가기관 : TI*] * 국제투명성기구

기업인 설문조사

애널리스트 평가
(연도별·국가별 질문문항 상이)


2022년: 31위 (180개국 중)
2021년: 32위 (180개국 중)
2020년: 33위 (180개국 중)
2019년: 39위 (180개국 중)
2018년: 45위 (180개국 중)
전자정부평가
[평가기관 : UN]
평가 분야/항목

온라인 서비스 수준

통신 기반 환경

인적자본 수준

우리나라 성적 2022년: 3위 (193개국 중)
2020년: 2위 (193개국 중)
2018년: 3위 (193개국 중)
2016년: 3위 (193개국 중)
정부신뢰도평가
[평가기관 : OECD]
평가 분야/항목

월드갤럽폴 단일문항 활용

우리나라 성적
2021년: 20위 (37개국 중)
2019년: 22위 (36개국 중)
2017년: 32위 (35개국 중)
더 나은 삶의 질 지수(BLI)
[평가기관 : OECD]
평가 분야/항목

11개 영역 23개 지표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우리나라 성적
2020년: 28위 (35개국 중)
2019년: 30위 (40개국 중)
2018년: 30위 (40개국 중)
2017년: 29위 (38개국 중)
디지털정부평가
[평가기관 : OECD]
평가 분야/항목

디지털 우선 정부

플랫폼 정부

열린 정부

데이터 기반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선제적 정부

우리나라 성적
2020년: 1위 (33개국 중)
국가경쟁력평가
[평가기관 : WEF*]
* 세계경제포럼
평가 분야/항목

4대 분야 12개 부문
(기본환경 4개 부문, 인적자원 2개 부문, 시장 4개 부문, 혁신생태계 2개 부문)

우리나라 성적 2019년: 13위 (141개국 중)
2018년: 15위 (140개국 중)
2017년: 26위 (137개국 중)
2016년: 26위 (138개국 중)
부패인식지수
[평가기관 : TI*]
* 국제투명성기구
평가 분야/항목

기업인 설문조사

애널리스트 평가
(연도별·국가별 질문문항 상이)

우리나라 성적 2022년: 31위 (180개국 중)
2021년: 32위 (180개국 중)
2020년: 33위 (180개국 중)
2019년: 39위 (180개국 중)
2018년: 45위 (180개국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