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자료
>
자료실
>
홍보자료
-
전체
(7610건) -
카드뉴스
(1802건) -
홍보영상
(616건) -
포스터/웹툰/인포 등
(525건) -
보도자료
(4230건) -
기고/인터뷰
(437건)
카드뉴스 (1802건)
1
2023-09-22
보건복지부
0
2023-09-22
보건복지부
0
2023-09-22
보건복지부
2
2023-09-22
행정안전부
9
2023-09-21
기획재정부
1
2023-09-21
기획재정부
홍보영상 (616건)
모든국민 국민연금개혁에 대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국민연금개혁에 대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었습니다영상바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h6uVwBnOwb8
5
2023-09-22
보건복지부
사는 곳: 행정안전부 나이: 쉿 비밀? 특징: 일처리 꼼꼼 매우 정확함! 이게 누구냐고? 바로 국민비서 구삐! 국민비서 구삐와 함께하면 언제 어디서든 민원도 처리하고 알림도 받고! 지금 바로 국민 비서를 고용해보자! #행정안전부 #정부혁신 #국민비서 #어플 #알림
0
2023-09-22
행정안전부
[2023년 제2회 통계 아카데미] 통계를 바라보는 제대로 된 눈_2
[2023년 제2회 통계 아카데미] 📊주제: 통계를 바라보는 제대로 된 눈 👨🏫강사: 최성호 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교수 📅일시: 2023.7.28.(금) 13:00 ~ 15:00 ✨장소: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로캠퍼스 00:38 통계 기본 사용법 [부분으로 전체 보기] 20:45 팬데믹(코로나 19)와 방역 통계 #통계청 #통계교육원 #통계아카데미 #통계리터러시 #통계기본사용법
0
2023-09-22
통계청
[2023년 제2회 통계 아카데미] 통계를 바라보는 제대로 된 눈_1
[2023년 제2회 통계 아카데미] 📊주제: 통계를 바라보는 제대로 된 눈 👨🏫강사: 최성호 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교수 📅일시: 2023.7.28.(금) 13:00 ~ 15:00 ✨장소: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로캠퍼스 05:38 통계 리터러시 (Statistical literacy) 14:10 통계 기본 사용 방법 #통계청 #통계교육원 #통계아카데미 #통계리터러시 #통계기본사용법
1
2023-09-22
통계청
나 빼고 다 아는 2024 청춘을 위한 예산안😱? | 청춘 경제번역기 Ep.7
#2024년 #청년정책 #청년지원#2024년 #2024예산안 #청년정책 #청년지원 지갑 경제가 고민인, 딱딱한 조직 내에서 상큼(?)을 담당하는, 인생 대박을 응원하는 기획재정부의 청년 인턴 세 분과 함께🌞 어렵기만 한「 2024년 예산안」을 청춘 용어로 쉽게 풀어주는 '청춘 경제번역기' (feat.🤖) 기재부 내부 인사면서 정책 수혜자인, "청년"이기도 한 인턴들이 직접 뽑은 2024 예산안 청년지원정책! 뭔지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영상 시청 GOGO!😎✌https://youtu.be/ldnmtWnhOC8?si=7oY8Zwoc36R4skAG
2
2023-09-21
기획재정부
미래를 위한 투자💰 신산업 투자촉진을 위한 현장애로 해소방안🤩
#AI반도체 #배터리 #자율주행#AI반도체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 #배터리 #신성장4.0 지난 8월 17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신산업 투자 촉진을 위한 현장애로 해소방안이 발표되었습니다. AI, 미래형모빌리티, 배터리 등 미래산업 분야의 현장 애로사항을 과감히 해소하고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온대 브리핑에서 자세히 소개합니다.🙏🏻✨https://youtu.be/H_JYYio40GU?si=PweFhqHQg7rB38Ig
2
2023-09-21
기획재정부
그외(포스터/웹툰/인포등) (525건)
(포스터)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네트워크 실천 포럼 개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네트워크 실천 포럼 개최-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의료·돌봄 통합지원 지자체 사례 공유 등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원장 배금주)은 9월 22일(금) 14시 경기 안산시 단원구청에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네트워크 실천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와 자체 시책으로 추진하는 지자체의 사례 등을 공유하여 지역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시범사업의 전국 확산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광주서·북구, 대전대덕·유성구, 부천·안산시, 진천군, 천안시, 전주시, 여수시, 의성군, 김해시 네트워크 실천포럼은 올해 총 3회에 걸쳐 진행되며, 권역별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 및 자체 추진 지자체, 유관기관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포럼일정) 1차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위한 주거-돌봄 연계방안(9.22/안산시) 2차재가노인 통합지원을 위한 의료-돌봄 연계방안(10.12/광주 북구), 3차농어촌·도농 복합지역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구축방안(11.2/의성군)⦁ (참석대상) 시범사업 및 자체 추진 지자체, 복지관·치매안심센터 등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 수행기관 등 이날 제1차 포럼에서는 ‘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위한 주거-돌봄 연계 방안’을 주제로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남기철 교수의 발제와 지자체(부천시, 안산시, 서울 마포구)의 사례발표, 전문가 지정토론을 진행하였다. 보건복지부 방석배 통합돌봄추진단장은 “네트워크 실천포럼을 시작으로「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의 전국 확산을 위해 지자체 간 사례 공유 및 상호 학습의 장을 지속 마련해 가겠다”라고 밝혔다.
3
2023-09-22
보건복지부
(포스터) 나에게 딱 맞는 복지서비스! 복지멤버십 맞춤형 급여 안내
http://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ohw2016&logNo=223204040704&categoryNo=20&parentCategoryNo=20&from=thumbnailList
2
2023-09-22
보건복지부
[인포그래픽] 「국민신청실명제」 신청하면, 원하는 ‘22년 통계청 정책사업 진행상황을 한눈에 확인
통계청은 국민이 알고 싶은 정책사업의 담당 공무원 실명과 추진상황을 공개하는 '국민신청실명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국민정책실명제란?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 선정에 국민 수요를 직접 반영하여 국민이 원하는 사업이 공개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통계청이 ’23년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 알고 싶은 사업을 ’국민신청실명제‘로 신청해주세요!정책실명제 심의소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사업의 주요내용, 담당공무원 실명과 추진상황을 공개합니다.국민신청실명제 신청은 연중 가능하오니, 궁금하신 사업이 있으신 경우 언제든 신청 서식에 따라 다음의 접수처로 신청해주세요.국민정책실명제 접수처1. 온국민소통 : 정책참여-국민신청실명제-신청하기-통계청 온국민소통, 소통24정책참여와 각 부처·자치단체의 사이트를 한 곳에서 접속 및 토론, '정책소통포럼' 온·오프라인 연계서비스, '공모전', '온라인공청회' 제공(구 광화문1번가)sotong.go.kr2. 문서24 : ‘통계청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으로 수신처 지정 문서24문서24 국민과 행정·공공기관의 행정업무 연결을 통한 업무효율 UP, 비대면 업무처리, 언제 어디서나, 업무시간 단축 문서 보내기 행정기관으로 문서를 작성 및 제출할 수 있습니다. 문서함 제출한 문서를 수신처에서 접수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궁금한 내용을 찾아보거나 인터넷 또는 콜센터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24 로고 워크넷 로고 청년내일채움공제 로고 나라장터 로고 기업마당 로고 비영리민간단체 로고 PRISM 로고 보육통합정보시스템 로고 정부24 로고 워크넷 로고 청년내일채움공제 로고 나라장터 로고 기업마당 로고 ...docu.gdoc.go.kr(사이트 접속→우측메뉴:국민신청실명제 신청·접수→신청하기)3. 우편접수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189 정부대전청사 3동 통계청 기획재정담당관실 (우)352084. 담당자 이메일 : ausgabe@korea.kr다만, 정보공개법 상 비공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제도 취지와 다른 단순민원 또는 제안인 경우, 신청한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이미 정책실명제로 공개되고 있는 사안은 선정되지 않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3년도에도 통계청 국민신청실명제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23년 통계청 정책실명제 사업 확인하러 가기▾▾▾- 통계청누리집-정보공개-정책실명제-국민신청실명제 국민신청실명제 | 정책실명제 | 정보공개 : 통계청통계청kostat.go.kr- 정보공개포털 정책실명제정책실명제 홈 공개정보 정책실명제 기관에서 선정한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중앙행정기관 정책실명제 사업시행년도 검색 조건 사업시행년도 검색 정책 실명제 검색결과 기관명 사업수 기관명 사업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6 경찰청 25 고용노동부 25 공정거래위원회 2 국가보훈부 19 국민권익위원회 27 금융위원회 16 농림축산식품부 39 농촌진흥청 21 문화재청 27 문화체육관광부 25 법제처 24 병무청 25 보건복지부 20 외교부 19 원자력안전위원회 5 인사혁신처 22 통계청 25 통일부 21 특허...www.open.go.kr[출처] 「국민신청실명제」 신청하면, 원하는 ‘22년 통계청 정책사업 진행상황을 한눈에 확인|작성자 통계청
2
2023-09-22
통계청
[인포그래픽] 독서로 꿈꾸는 도서관 - 공공도서관 수 및 1관 당 방문자 수
📚독서로 꿈꾸는 도서관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은마음의 양식을 쌓기 딱 좋은 계절이죠. 특히 9월은 책으로 가을을 만나는독서의 달이기도 한데요. 올 9월이 지나기 전,전국 공공 도서관에서 개최되는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통해지식을 더욱 풍성하게쌓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통계청 #통계 #도서관 #독서#북스타그램 #독서의달 #9월 #일상 #정부혁신#일상[출처] 독서로 꿈꾸는 도서관 - 공공도서관 수 및 1관 당 방문자 수|작성자 통계청
1
2023-09-22
통계청
(포스터) 평생을 함께할 의료정보 플랫폼, ‘건강정보 고속도로’ 본격 가동
평생을 함께할 의료정보 플랫폼,‘건강정보 고속도로’ 본격 가동- 113개의 개인 의료데이터의 손쉬운 조회와 활용,건강정보 고속도로 본격가동으로 의료정보 접근성 확대 기반구축 - <요약본>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개인 의료데이터 국가 중계플랫폼인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통해 의료기관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개인의 의료데이터를 본인의 동의하에 손쉽게 조회, 저장하고, 원하는 곳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보유한 예방접종이력, 건강검진·진료·투약이력에 한해서 볼 수 있었지만, 이번 본가동으로 확대된 860개소의 의료기관의 진단내역, 약물처방내역, 진단‧병리검사, 수술내역 등 12종 113개 항목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건강정보 고속도로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나의건강기록 앱’을 내려받으면 누구나 활용할 수 있으며, 건강정보 고속도로 누리집(www.myhealthway.go.kr)에서도‘나의건강기록 앱’의 이용방법과 소개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건강정보 고속도로 본가동은 정보의 주체인 국민이 자신의 의료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강화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며,“일상 속 건강관리, 웨어러블 모니터링 등 국민의 능동적인 건강생활 실천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플랫폼이 되리라 기대해본다”라고 밝혔다.
2
2023-09-21
보건복지부
(포스터) 국립재활원, 2023 재활연구 국제 학술토론회 개최
국립재활원, 2023 재활연구 국제 학술토론회 개최- 주제: 장애인의 기능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Functioning and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9월 22일(금)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2023 재활연구 국제 학술토론회」를 개최했다. 재활연구 국제 학술토론회는 2009년부터 매년 열리는 국제행사로 재활연구소의 사업과 비전을 홍보하고,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자리다. ‘장애인의 기능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국제 학술토론회는 한국·중국·일본 3개국 국립재활원의 재활연구 최신 동향과 정보 교류를 통해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재활연구 수행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애인 당사자의 의견수렴을 위한 행사이다. 한국·중국·일본 국립재활원은 2009년에 최초로 업무 협약(MOU)을 통해 연차적으로 강연, 콘퍼런스, 심포지엄 개최 활동에 협력하기로 하였으며 올해는 한국 국립재활원이 토론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은 “이번 「2023 재활연구 국제 학술토론회」가 재활연구 전문가와 장애인이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희망한다”라면서, “국립재활원은 앞으로도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재활의 미래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재활전문기관으로 성장하기 위해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6
2023-09-21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4230건)
제48주년 민방위대 창설기념 행사 경남에서 개최 - 우리나라 안전을 지키는 민방위대의 위상 제고와 대원들의 자긍심 고취 - 민방위 유공자에 정부포상, 행정안전부장관 및 경남도지사 표창 총 22점 수여 - 2016년 이후 7년 만에 중앙‧시도 공동주관으로 기념행사 개최□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와 경상남도는 민방위대 창설일(1975.9.22.)을 맞아 지자체, 민방위 대원 등 6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9월 22일(금) 경남도청 대강당에서 ‘제48주년 민방위대 창설기념행사’를 공동주관으로 개최한다. ○ 민방위대 창설기념행사는 “내 조국과 내 마을, 내 직장은 내가 지킨다”라는 민방위대 임무와 국가안보 초석 역할을 다짐하고, 민방위대원과 관계자를 격려하기 위해 1975년부터 개최되어 왔다. ○ 특히, 올해 행사는 2016년 제41주년 창설기념행사 이후 7년 만에 중앙부처와 시·도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개최하는 것으로, 북한 미사일 도발 등 불안한 안보환경과 신종·복합재난 발생 등 점점 거세지는 재난위협 속에서 민방위대 역할을 다시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7년~2022년은 시‧도 주관으로 기념행사 추진□ 행사에서는 경상남도지사의 기념사와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의 치사, 민방위 유공자 포상(22점) 수여, 제48주년 민방위 발자취 영상시청, 민방위 신조 낭독과 민방위의 노래 제창 등이 진행된다. ○ 포상은 민방위 업무·활동 등으로 국민 안전에 기여한 유공자(개인·단체)에 대해 정부포상 6점*(대통령 표창 2, 국무총리 표창 4),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6점, 경남도지사 표창 10점 등 총 22점을 수여한다. * 대통령 표창 2점(한국전기안전공사,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국무총리 표창 4점(충청남도교육청, 한국동서발전(주), 전남 나주시, 경상남도 김남영 주무관) ○ 또한, 비상사태 시 국민행동요령과 안보영상 상영, 민방위 48년의 역사를 뒤돌아보는 뜻깊은 영상 상영 등을 통해 민방위대 발전을 기원한다. ○ 아울러, 공식 행사 외에도 민방위 사진전과 저격용 소총, 대테러 복장 등 장비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 가상 비행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장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하였다. □ 한편, 전국에는 335만여 명의 민방위대원과 84,347대의 민방위대가 편성(2023년 3월 기준)되어 있으며, 지난 8월 23일 전국 민방위 대피훈련 시 민방위 대피소 입구에 민방위대장이 배치되어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등 적극적으로 활동해오고 있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국민 안전을 위한 민방위 활동에 헌신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전국 335만 민방위대원과 관계자 여러분의 노고에 깊은 감사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 “정부는 민방위 활동과 다양한 재난 현장에서 기여하고 있는 민방위 대원들의 위상을 제고하고, 최근 대내외적 안보 상황에 맞게 대원들의 역량 강화에도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1
2023-09-22
행정안전부
주소기반 로봇배송 확산을 위해 민・관 전문가 협력체 본격 가동
주소기반 로봇배송 확산을 위해 민・관 전문가 협력체 본격 가동 - 9월 22일(금), 주소기반 자율주행로봇 협의체 첫 회의 개최□ 앞으로는 자율주행로봇의 이동에 필요한 경로에 주소정보를 반영하여 주요 기반시설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9월 22일(금), 건국대 서울캠퍼스에서「주소기반 자율주행로봇 협의체」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내로봇 대표기업와 관련부처*, 유관기관, 학계 등 전문가 2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소기반 자율주행로봇** 서비스 확산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 관련부처: 행안부, 산업부, 국토부, 경찰청, 우정사업본부 ** 주소기반 자율주행로봇이란 : 주소정보 기반으로 구축한 실내·외 로봇 이동경로 및 접점(출입구, 사물주소 등)을 사용하여 배송하는 자율주행로봇□ 행정안전부는 주소기반 로봇배송서비스 도입을 위해 2020년부터 전국 7개*지역에서 실증 진행을 통해 개선사항 도출과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 7개 지역: 서울(송파구, 건국대), 부산, 인천, 대전, 울산, 세종 ○ 아울러, 건물의 모든 출입구, 경사로, 계단, 출입문의 종류 등 주소정보 지능화를 통해 이동체별(로봇, 사람, 차량 등)로 꼼꼼한 경로안내가 가능하도록 주소체계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 협의체는 주소기반 로봇 기반시설 확산에 협력하고,「주소지능정보 전문가포럼」을 통해 주소기반의 로봇배송 활성화를 위한 과제연구도 수행할 예정이다. □ 아울러 로봇배송 상용화를 위해 관련 규제가 빠르게 해소되고 있는 만큼, 지능화・고도화된 주소정보는 사람과 로봇이 서로 위치를 확인하고 소통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지원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 한편, 행정안전부는 주소정보 활용 확산을 통해 연간 3조 3천억 원 규모의 비용편익 창출과 오는 2030년까지 1조 원 규모의 주소정보산업 육성을 목표로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22~26)을 수립하여 추진중에 있다. ○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의 일환으로 주소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 2026년까지 주소정보 기반시설을 2배 이상 확충하여 촘촘한 주소체계를 구축을 통해 주소정보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이날 행정안전부는 건국대 내에 구축된 주소정보 인프라를 적용한 로봇배송 상용화 서비스 시연회를 함께 실시한다. □ 송정아 주소생활공간과장은“정부와 기업, 학계 등과 적극 소통하여 국민에게 새로운 로봇배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준비해 가겠다”고 밝혔다.
1
2023-09-22
행정안전부
살기 좋은 지방시대, 지방공공기관이 이끈다 - 9월 22일(금), ‘제18회 지방공공기관의 날’ 기념행사 개최 -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인 유치 기원□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9월22일(금),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부산 동구)에서 지방공기업 및 지방출자출연기관의 기관장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8회 지방공공기관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지방출자출연기관의 기관장까지 참여한다. ○ 기존에는 2004년부터 기관장을 비롯한 지방공기업 관계자가 모여 소통하고 우수 정책을 공유하기 위해 ‘지방공기업의 날’ 행사를 개최해왔다. * 2004년 이후 ‘지방공기업의 날’로 매년 개최(`20년, `21년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미개최) ○ 올해부터는 지방공기업 이외에도 문화·예술·장학·체육·의료 및 지역개발 분야에서 주민들에게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방출자출연기관까지 모여 지방시대를 열기 위한 자리로서 ‘지방공공기관의 날’로 확대하여 개최한다. ○ 이에 따라 기존에 지방공기업 410개 기관을 대상으로 했던 행사는 849개 지방출자출연기관까지 포함하여 총 1,259개 기관까지 확대되어 참석 대상으로 포함된다. ※ (참고) 지방공공기관 구분 - 지방직영기업 : 지자체 조직의 일부(공무원 신분)로 상하수도 등 필수 공공서비스 제공 - 지방공사 : 도시철도, 도시개발사업 등 지역 내 자체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공공법인 - 지방공단 : 시설관리 등 지자체 사업을 대행하는 공공법인 - 지방출자기관 : 지자체가 민간과 공동으로 투자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 - 지방출연기관 : 문화·장학·의료 등 특정 분야에서 지자체 출연금을 통해 공공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만든 비영리법인□ 이번 기념행사는 “지방공공기관 혁신, 지방시대를 열다”를 주제로 진행되며, 주제에는 지방공공기관이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지방시대를 열어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 지방공공기관의 발자취, 그리고 혁신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한 영상이 상영되며, 그동안 지방공공기관 발전에 이바지한 기관과 개인에게 총 15점의 정부포상과 장관표창이 수여된다. * 대통령표창 4점, 국무총리표창 5점, 장관표창 6점 (기관 11점, 개인 4점)□ 기관표창에는 전남행복동행펀드 조성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전남개발공사가 대통령표창을 받는다. ○ 울산광역시는 국무총리표창을, 대구문화예술진흥원,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등은 행정안전부장관표창을 받는다. ○ 개인표창은 인천도시공사 서경호 자산관리본부장 등이 대통령표창을, 양주도시공사 김용성 전략기획팀장 등이 국무총리표창을 받는다.□ 행정안전부는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인 ‘공공기관 혁신’을 지방으로 확산하고 공공서비스의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 작년 7월부터 ‘지방공공기관 혁신’을 추진해왔다. ○ ‘지방공공기관 혁신’은 행정안전부가 제시한 방향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공공기관이 자율적으로 혁신을 추진하고, 우수한 실적을 거둔 기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 그 결과 올해 8월까지 구조개혁을 통해 21개 지방공공기관을 감축하는 등 전국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행정안전부는 지속적인 과제 발굴을 통해 지방공공기관 혁신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 자리에서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성공적인 유치를 기원하기 위해 ‘Busan is good for EXPO 2030’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퍼포먼스도 선보인다. ○ 이후 이상민 장관은 17개 시도 부단체장들과 함께 부산세계박람회 예정 부지인 북항 재개발 현장을 둘러본다. □ 이상민 장관은 “구조개혁, 재무건전성 강화 등 지난해 마련한 여러 혁신방안을 토대로 혁신에 박차를 가해 달라”고 말하고, “지방공공기관이 혁신의 주체로서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열어달라.”고 강조했다.
3
2023-09-22
행정안전부
[하루만보] "한 폭의 수채화처럼 펼쳐진 절경"...강원 삼척 '응봉산 등산로'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92122572557894산림청은 국토녹화 50주년을 기념해 '걷기 좋은 명품숲길'을 선정하였고,아시아경제 [하루만보]를 통해 매주 금요일 선정된 숲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7
2023-09-22
산림청
지방 곳곳에 숨어있는 그림자 킬러규제 확 걷어낸다 - 9월 20일, 제5차 행안부-지자체 합동 지방규제혁신회의 개최 - 행안부-지자체-전문가 함께 지자체의 그림자 킬러규제 개선방안 모색□ 법령에 명시적 근거가 없음에도 현장의 관행, 규정, 지침 등에 숨어서 기업활동을 어렵게 하고 국민 불편을 가중시키는 ‘그림자 킬러규제’가 본격적으로 해소될 전망이다.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9월 20일(수), 정부세종청사에서 고기동 차관 주재로 17개 시·도 기조실장, 민간전문가, 기업관계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제5차 행안부-지자체 합동 지방규제혁신회의’를 개최하였다. ○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시작된 지방규제혁신회의는 정례적으로 지자체 규제혁신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규제혁신 우수사례를 전파하며 지역 현안규제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 특히, 지난 4차 회의에서 논의한 ‘수출용 방산물자 육상운송 제한 규제’는 관계부처 합동회의, 지방규제혁신위원회 심의 등 행안부의 적극 노력으로 운행허가 최장기간 연장(3→6개월), 축중량 10톤 이상 운행제한 관행 개선, 관련 가이드라인 신설 등을 통해 방산기업의 규제애로를 해소하였다. □ 이번 회의에서 행안부와 지자체는 「’23년 지방규제혁신 추진성과 및 향후계획」을 공유했다. ○ 행안부는 지방규제혁신위원회, 현장협의회 등을 통해 입지·고용 등 핵심규제를 해결했으며, 4분기에도 현장토론회, 우수사례 경진대회 등을 개최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제혁신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 지자체에서는 추진성과로 규제 애로를 겪는 기업을 밀착 지원한 사례를 발표했다. - 대구시에서는 ‘규제 제로(ZERO)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민관 협력을 통해 지역현안 규제를 해소하고, 전라북도는 1기업 1공무원 전담제를 운영하여 호평을 받았다. 경상남도는 ‘기업 119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 하여 지역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이어서 규제로 불편을 겪던 기업인이 규제혁신을 통해 현장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직접 설명하였다. ○ 행안부와 충북도의 끈질긴 노력과 산업부의 전향적인 검토로 생산된 곤충이 외부로 판매되지 않고 원자재로써 제조공정에 모두 사용되는 경우 관련 부대시설로 보아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게 된 사례가 발표됐다. - 곤충을 대량 생산하여 화장품, 비료 등을 생산하는 (주)케일은 곤충생산업이 축산업으로 분류되어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없었으나 규제개선으로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게 되었다. ○ 이차전지 제조기업인 ㈜엘지에너지솔루션은 위험물을 공장 일부에서만 사용함에도 공장 전체에 대해 위험물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애로가 있었다. - 이에, 소방청은 행안부·충북도와 협의하여 위험물을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허가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특례를 마련하기로 했다. □ 다음으로 전문가와 함께 그림자 킬러규제를 발굴하고, 신속하게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토의했다. ○ 행안부와 지자체는 기업활동에 방해가 되는 ▴불합리한 인허가 지연 규제 , ▴과도한 행정지도 및 단속 기준, ▴법정 수수료 및 기부채납 부담, ▴사업진입·확장 애로를 중점적으로 해소하기로 했다. ○ 지자체는 이런 유형에 해당하는 규제혁신 과제를 ‘찾아가는 지방규제신고센터’ 등을 통해 발굴하고, 행안부와 함께 개선하기로 했다. □ 향후, 행안부는 경제단체 간담회 등을 통해 규제발굴을 지원하고 개선사례 중 효과가 검증된 모범사례를 선정하여 전국 지자체에 확산할 계획이다. ○ 참고로 총리실에서는 「킬러규제 혁신 TF」를 구성하여 15개 전담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는 ‘그림자 규제 전담반’으로서 매주 17개 시도와 함께 그림자 킬러규제를 발굴·개선하고 있다. □ 고기동 차관은 “중앙부처 규제가 해소되어도 실제 현장을 제약하는 그림자 규제가 그대로 유지되면 기업은 규제혁신을 체감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행안부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현장에서 개선을 요구하는 그림자 킬러규제부터 신속하게 해소해서 기업이 자유롭게 활동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지역의 역동성과 활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1
2023-09-21
행정안전부
온북으로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일 잘하는 정부 구현
온북으로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일 잘하는 정부 구현 - 9월 21일(목) 행안부, 국가정보원과 공동으로 온북 콘퍼런스 개최□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9월 21일(목), 서울 소재 CJ인재원에서 온북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효율적으로 일 잘하는 정부 구현을 위한 ‘온북’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온북’은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임직원이 어디서나 사무실과 동일한 환경으로 업무망과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업무용 노트북이다. ○ 이번 행사에서는 최신 정보통신(IT)기술 트렌드, 온북 운영현황 등이 소개되며, 참가자들은 홍보부스에서 구름OS*, 인터넷망 DaaS** 등 온북 제품들에 대해 관람과 체험을 할 수 있다. * 구름OS : 풀디스크암호화 등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국내기술로 개발한 개방형 OS ** DaaS(Desktop as a Service) :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한 가상의 인터넷 PC□ 온북 도입은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로서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교육부, 국방부는 이미 도입을 마쳤으며, 기획재정부, 통일부, 산림청, 대구시교육청은 12월까지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 온북 도입을 위해 행안부는 지난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시범운영을 시행하여 온북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실질적으로 검증했다. ○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간기업 등과 협업을 통해 기존 망분리*(2 PC) 환경의 보안성을 확보하고 사용자 편의성은 높였다. * 망분리(2PC) : 공무원들은 내부 행정정보 보호를 위해 업무망과 인터넷을 구분하여 2대의 데스크톱 PC를 사용□ 온북을 사용하게 되면 사무실은 물론 출장 또는 재택근무 시에도 보안 규정을 지키면서 자유로운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 위생점검·근로감독과 수도검침·사회복지 등 현장 상황을 실시간 반영하여 업무를 완결할 수 있어 대국민 만족도 향상이 기대된다. ○ 아울러, 자율좌석제 도입과 워케이션 활성화 등으로 조직문화혁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1부에서 행정안전부는 ‘온북 추진 경과 및 도입현황’을 발표하고, CJ올리브네트웍스에서 민관협의체를 대표하여 ‘최신 정보통신(IT)기술 트렌드’를 발표한다. ○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기존 제품보다 보안기능이 강화되고, 하드웨어(HW)호환성을 향상시킨 ‘구름 플랫폼* 4.0’을 공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개방형 영체제(OS) 지원사업**’에 대해 발표한다. * 구름 플랫폼 : 출장이나 재택근무시 내부 행정정보 접속을 위한 보안 영역 ** 개방형 운영체제(OS) 지원사업 : 윈도우즈 종속성을 탈피하기 위해 공개된 소스를이용하여 만든 국산 개방형 OS의 보급과 확산, 호환성 확보를 위한 국가지원사업□ 2부에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온북 운영 사례’를 발표하고, 성과를 공유한다. □ 행정안전부는 온북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온북 민관협의체를 통해 지속적인 기능개선과 품질향상을 추진하고, 온북 유형도 다양화 할 계획이다. ○ 또한, 지자체 정보화사업 추진기관인 한국지역정보개발원과 협조하여 온북의 지자체 보급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 한편, 콘퍼런스는 사전 참여신청을 하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가능하며 신청은 온오프믹스(http://onoffmix.com)를 통해 가능하다. □ 신용식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국장은 “안전성과 편의성이 확보된 온북은 정부업무 혁신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며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며 “온북을 통한 공무원의 행정효율 향상과 현장행정 강화가 국민에게 좋은 행정서비스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
2023-09-21
행정안전부
기고/인터뷰 (437건)
[인터뷰(통계청장)] 통계청, 정보보호 신기술로 데이터 보호와 개방 두 마리 토끼 잡는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9217866O
2
2023-09-22
통계청
[인터뷰(통계청장)] 통계청, OECD와 국제회의…"韓, 데이터 혁신 분야 선도해"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921_0002459339
5
2023-09-22
통계청
[인터뷰(통계청장)] ‘센서스 100주년’ 2025 인구주택총조사 위한 제1기 자문단 출범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918000628
3
2023-09-19
통계청
[인터뷰(통계청장)] 통계청, AI·데이터사이언스 활용 국가통계 디지털 전환 앞당긴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914_0002450555
0
2023-09-15
통계청
[인터뷰(통계청장)] 통계청, 추석 명절 일일물가조사 시작 “가격동향 신속제공”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48566635740120&mediaCodeNo=257
0
2023-09-15
통계청
[인터뷰(통계청장)] 통계청, 아프리카개발은행과 통계역량 강화지원 MOU
https://www.yna.co.kr/view/AKR20230913131500002
0
2023-09-14
통계청